컨텍스트 윈도우
“컨텍스트 윈도우”는 언어 모델이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할 때 되돌아보고 참조할 수 있는 텍스트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는 언어 모델이 훈련된 대규모 데이터 코퍼스와는 다르며, 대신 모델의 “작업 메모리”를 나타냅니다. 더 큰 컨텍스트 윈도우는 모델이 더 복잡하고 긴 프롬프트를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게 하며, 더 작은 컨텍스트 윈도우는 모델이 더 긴 프롬프트를 처리하거나 확장된 대화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컨텍스트 윈도우 이해 가이드를 참조하세요.파인튜닝
파인튜닝은 추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전 훈련된 언어 모델을 추가로 훈련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모델이 파인튜닝 데이터셋의 패턴과 특성을 표현하고 모방하기 시작하게 합니다. Claude는 순수한 언어 모델이 아닙니다; 이미 도움이 되는 어시스턴트가 되도록 파인튜닝되었습니다. 저희 API는 현재 파인튜닝을 제공하지 않지만, 이 옵션을 탐색하는 데 관심이 있으시면 Anthropic 담당자에게 문의해 주세요. 파인튜닝은 언어 모델을 특정 도메인, 작업 또는 작성 스타일에 적응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파인튜닝 데이터와 모델의 성능 및 편향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HHH
이 세 개의 H는 Claude가 사회에 유익하도록 보장하는 Anthropic의 목표를 나타냅니다:- 도움이 되는(helpful) AI는 최선의 능력으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거나 질문에 답하려고 시도하며, 관련성 있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정직한(honest) AI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환각이나 허위 정보를 만들어내지 않습니다. 적절할 때 자신의 한계와 불확실성을 인정합니다.
- 무해한(harmless) AI는 공격적이거나 차별적이지 않으며, 위험하거나 비윤리적인 행위를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정중히 거절하고 왜 응할 수 없는지 설명합니다.